연말정산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연금저축과 퇴직연금 알아보기 (+연말정산 절세) 연말정산 공제를 궁리하다 보니, 생각보다 만만치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올해는 그른 것 같고 내년을 위해 '연금'이라는 것을 알아보기로 했다. 사실 연금 수령시기가 20년 넘게 남았다 보니 여태 넣을 생각이 없었는데 연말정산때문에라도 슬슬 알아보긴 해야겠다. 연금을 해야겠다고 마음먹은 큰 이유 중 하나는, 쉽게 16.5% 수익률을 낼 수 있느냐!라는 한 마디였다. 돈이 연금 수령까지 묶이게 되지만 절세 혜택과 연금 투자를 놓치고 싶지않은 맘도 생겼다. 개인연금저축? 퇴직연금? 연금저축과 퇴직연금으로 2종류가 있는데 그 안에서도 종류가 다양했다. 퇴직연금쪽은 많이 들어왔던 것들이라 익숙한데 개인연금이 낯설다. 일단 퇴직연금만 보면 DB, DC형은 재직 중에 관리하는 것이니 쓰루하고 IRP만 본다. (개인연.. 연말정산 준비하기 (ver.2020) 연말정산이 얼마 안 남은 시점에서, 공제받을 수 있는 사항을 한번 정리해놓는다 :ㅇ (철저하게 나의 환경 기준으로 필요한 부분만 정리한 것이다!) 인적공제 1명당 150만원 공제 - 직계존속은 만 60세 이상부터. - 형제자매는 동거가 원칙이지만 직계존속은 별거자도 포함. - 직계존속의 연간소득 100만 원 이하, 근로소득만 있을 경우 500만 원 이하여야 함. (이자, 배당, 국민연금 등을 포함한 금액) 인적공제 등록은 연말정산할 때 하는데, 인적공제가 가능한 사람인지에 대한 판단은 본인이 해야 한다. 부모의 경우는 연금공단에 공제가 가능한 사람인지 한 번 문의하는 게 좋다. 직계존속의 의료비 공제도 내가 받을 수 있는데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에서 볼 수 있다. 부모가 자료제공동의 절차를 거쳐야 가능하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