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esign

(3)
피그마로 SVG export했는데 리소스가 이상하다고? "컴포넌트의 상태별 SVG 소스를 뽑았는데 사이즈가 다 달라요." 어느 날, 개발자에게 이런 이야기를 들었다. 헐레벌떡 리소스를 확인해보았지만 컴포넌트는 모두 같은 사이즈였고, 그걸 상태 별로 variant 해둔 것 뿐이기 때문에 다르게 추출될 이유가 없었다. 대강 저 동그란 라디오 컴포넌트를 export한 상황이었는데 직접 해보니 정말 사이즈가 다르게 뽑혔다. 여러 테스트를 해보다 보니 두 가지 난감한 상황을 마주할 수 있었다. - SVG의 사이즈가 1px씩 틀어지는 현상 (개발자가 문의한 것) - 보더가 틀어지는 현상 SVG 사이즈가 틀어지는 케이스 내 경우에는 SVG의 height가 1px씩 틀어지는 현상이었다. 16x16 컴포넌트라면 16x17로 뽑히는 거다. 사건 현장(?)을 좀 더 명확히 보자..
Android Notification의 Icon 만들기 (with One Signal) Notifications 앱이 실행 중이지 않더라도 유저에게 간단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 보통 '푸시'라고 부른다. 보통 시기적절하게 정보를 제공하는데 효과적이고 유저에게 아래와 같이 보여줄 수 있다. - 스테이터스바에 아이콘으로 보여주기 - 소리나 진동으로 보여주기 - 디바이스 LED 깜빡이기 - 현재 스크린에서 보여주기 (=헤드업 알림, Android 5.0부터) - 락스크린에서 보여주기 (Android 5.0부터) - 런처 아이콘 위에 색상 배지로 알림 표시 (Android 8.0부터) Notification Elements 1. 작은 아이콘 : 필수 구성요소 2. 앱 이름 : 시스템에서 제공 3. 타임스탬프 : 시스템에서 제공, 재정의하거나 숨길 수 있다. 4. 큰 아이콘 : 선택사항 (..
디자인 버전관리 툴 7종 비교하기 (Github, Sketch Cloud, Abstract..) -2 1편(https://carrotdesign.tistory.com/53)에 이어 2편을 작성한다. 오늘 살펴볼 서비스는 Plant, Folio, Sympli이다. Plant (https://plantapp.io/) 장점 플러그인이라 편의성이 좋고 디테일한 뎁스는 웹으로 접속해서 보는 형태이다. 웹앱에서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업로드하는 파일의 용량 제한이 없다. (스케치 파일이 그리 무겁지 않긴 하지만.) 선택한 대지만 내보내는 기능이나 스케치 라이브러리를 지원하는 등 편의성을 제공한다. 단점 브랜치를 따서 작업하지 않고 마스터라인만 있는 것처럼 동작한다. 마스터라인과 충돌이 생기면 Preview로 보며 최신 것을 선택해야 해서 작업량이 많으면 헷갈릴 듯. 작업물이 업로드되면 다른 사람에게 메일로 알림이..

반응형